닫기

- 범한철학회 관리자 로그인 -

학술지 논문 열람PAN-KOREAN PHILOSOPHICAL SOCIETY

pISSN : 1225-1410 eISSN : 2713-9344

범한철학, Vol.100 (2021)
pp.39~64

DOI : 10.22932/pkps.2021.100.1.039

- 克己復禮의 맥락 이해 (contextual understanding) -『춘추좌전』과 『논어』를 중심으로 -

황광우

(전남대학교 철학과 박사과정 수료)

본 연구는 극기복례에 대한 맥락적 이해를 시도한다. 극기복례가 등장하게 된 역사적 상황을 추출하고, 공자가 통치자들과 나눈 대화를 분석하여, 극기복례의 맥락을 규명한다. 본 연구가 검토하는 쟁점은 세 가지이다. 첫째, 克己의 주체는 누구이고 극기의 대상은 무엇인가? 둘째, 禮의 역사적 실체는 무엇이고, 복례의 실천적 의미는 무엇인가? 셋째, 非禮의 대상은 무엇인가? 『춘추좌전』 기사에 의하면 극기의 주체는 초영왕이었고, 극기해야 할 대상은 초영왕의 야심이었다. 『논어』에서 공자가 통치자들과 나눈 대화에 의하면 극기의 주체는 군주를 포함한 통치자들이었고, 극기해야 할 대상은 통치자들의 탐욕이었다. 『춘추좌전』 기사에 의거할 때 禮의 실체는 주희의 천리가 아니라, 주공이 만든 주례였다. 복례는 주례의 준수를 지시하는 어휘였고, 주례의 복원이 갖는 실천적 의미는 ‘수탈이 없는 세계’의 실현이었다. 『춘추좌전』의 용례를 분석할 때, 非禮의 대상은 통치자들이 주례를 위반한 사태였다. 『논어』에서 공자가 보인 언행을 분석할 때, 非禮의 대상은 계씨를 비롯한 통치자들의 주례 위반 행위였다.

The contextual understanding of

Hwang, Kwang Woo

I attempt to fix a contextual understanding of the phrase, . At first, extract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phrase, then, I fix the context of through analysing of the dialogues between Confucius and the rulers of Roh. The first issue to be examined is about "who is the subject of self-control and what is the object to be controlled." The second issue to be examined is "what is the historical substance of 'Li' and what the returning to 'Li' does mean politically?" The third issue is what is the concrete object of 'non-rite'. According to our study, the subject of self-control is not 'man in general' and not the confucian. Chunqiu Zuozhuan's report wrote down that the subject of self-control was the king and the object to be controlled was his greedy ambition. The dialogues passed down by the analects indicated that the subject of self-control was the ruler and the object to be controlled was his excessive greed. And The concrete object of 'non-rite' was the ruler's action against Zhou's Rites.

다운로드 (Download) 리스트(List)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