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 범한철학회 관리자 로그인 -

학술지 논문 열람PAN-KOREAN PHILOSOPHICAL SOCIETY

pISSN : 1225-1410 eISSN : 2713-9344

범한철학, Vol.113 (2024)
pp.107~137

DOI : 10.22932/pkps.2024.113.2.107

- 1920~30년대 하이데거의 철학에서 자연의 문제 -

양갑현

(전 동신대 강사)

1930년대 이후 하이데거의 철학에서 자연 문제는 중심 문제였다. 그러나 1920년대 그의 초기 저술에서 자연 문제에 대해 논급은 그렇게 두드러져 보이지 않는다. 자연 문제에 대한 논급이 상대적으로 미미하게 보인 것은 『존재와 시간』(1927) 전후로 하이데거가 사용하는 자연이란 용어의 모호성과 그 설명의 복잡성에 기인한다. 그러나 1920년대에서 30년대 중반 에 걸친 이 시기 자연 논의가 탐구 관점이 된 것은, 이 시기 하이데거의 사유 여정이 자연 개념의 모호성과 설명의 복잡성에도 불구하고, 1930년대 이후 그 사상의 진화를 이해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 시기 자연 설명에 나타난 변형들은 하이데거 자신이 부딪 친 문제의식에 대한 반응임을 감안한다면, 기초존재론에서 후기 사상으로의 이행 과정에서 존재를 묻고 표명하는 방식을 특징적으로 보여준다. 초기 저술에서 자연은 눈앞의 것, 손안의 것으로서 ‘세계 내부적인 것’과 연관되어 있다. 『존재와 시간』 이후 자연은 세계 내부적인 자 연 존재와 구별되는 ‘이해할 수 없는 단순한 것’, ‘환원 불가능한 그 무엇’ 또는 ‘무의미성의 심연’, 따라서 세계화의 심연적 근거로서 드러난다. 1928년 변환 존재론(metontologie)에서 자연은 존재자 전체로서 현존재의 현사실적 존재의 전제 조건으로, 또 1929년 「형이상학이 란 무엇인가?」에서 불안이라고 하는 근본 기분 속에서 그 순수한 비세계성에서 존재자는 무 의미성으로 개시된다. 「진리의 본질에 대하여」(1930)에서 전체 안에서 존재자의 시원적 탈 은폐와 존재자 그 자체에 관한 물음은 동일한 것으로 전개된다. 1935년의 「예술작품의 근원」 에서 자연은 피지스(φύσις)로 표현되는 대지(大地)의 존재 방식과 관련하여 드러난다. 이런 대 지는 후기 사상에서 사방세계(Geviert)의 한 방역으로 정착된다. 이렇게 소위 초기 저술에서 의 자연 논의는 후기 사상의 그것과 단절되지 않고 면면히 계승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자연 문제는 하이데거 철학에서 한낱 주변적인 문제가 아니라, 궁극적으로 존재 물음이라는 포괄적인 틀 속에서 논구되는 중심 문제라고 할 수 있다.

The Problem of Nature in Heidegger's Philosophy in the 1920s and 30s

Yang, Gabhyeon

In Heidegger's philosophy since the 1930s, the problem of nature has been a central problem. However, in his early writings in the 1920s, the discussion of nature does not seem so prominent. The reason why the discussion o f n ature a ppeared r elatively i nsig nificant i s d ue t o t he ambiguity of the term nature used by Heidegger before and after Being and Time(1927), and the complexity of its explanation. However, the discussion of nature during this period from the 1920s to the mid-1930s became an inquiry point of view because it provides clues to understand the evolution of the idea since the 1930s, despite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of nature and the complexity of explanations during this period. In addition, given that the explanation of nature that appeared during this period was a response to the problematic situation Heidegger himself encountered, it is believed to be characteristic of the way in which Being was a sked and Being was expressed in the transition f rom fundamental ontology to later thought. In early writings, nature is related to the 'intraworldly'. After Being and T ime, nature appears as the abyss of wording , such as ' the s imple thing that cannot be understood', 'something that cannot be reduced', or 'the abyss of meaninglessness'. In metontology(1928) and 「What is metaphysics?」(1929), nature is discussed in t erms o f nothing , t hat is, a hidden e xistence, w hich e nables t he emergence of a deworlded 'being itself'. In 「The Origin of the Work of Art」(1935), nature is revealed in relation to the way the earth exists, expressed as φύσις. These lands are settled as fourfold in later thoughts. The problems of nature eventually come to be integrated into the comprehensive framework of the question of being.

다운로드 (Download) 리스트(List)


닫기